중공 아이언의 최대 단점은 두가지 입니다. > 골프포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Sign in with googleSign in with kakao
자동로그인

중공 아이언의 최대 단점은 두가지 입니다.
  장비 |
후훗쏴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작성일: 2025-02-12 21:51:24 조회: 8,384  /  추천: 2  /  반대: 0  /  댓글: 39 ]

본문





제가 주로 사용하는 아이언은 혼마 TR20V 아이언으로 6번 28도, 7번 32도, 피칭 44도인 T150 급이고,

중공은 미즈노 프로 MP225 6번 27도, 7번 30도, 피칭 44도 입니다.

샤프트는 혼마 모듀스 105, 혼마 커스텀이라 팁이 더 단단한 편이고, 미즈노는 생다골 S200 입니다.

중공의 최대 단점은 8번 이상에서 그린스피드 조금이라도 빠르거나, 포대그린일 경우 세워지지 않고 흐른다는 점이죠.

분명 정타 맞고 탄도 스핀도 잘 먹어보이는데, 그린 맞고 뒤로 흘러가서 오바 되는 경험. 중공아이언에서 상당히 많이 나옵니다.

이전에 PXG Gen2 0311T아이언 주전으로 사용했었고, 그래도 나름 중공 중에서도 상급자 채로만 써봤던 경험입니다.

또 한가지는 한클럽에서 두클럽까지 증가되는 뻥거리.

주로 7번과 6번 아이언에서 많이 발생되는 문제인데, 그린에서 세워지지도 않고 캐리로 더 멀리가는 현상.

초반에는 거리부심도 좀 생겼지만, 어이언은 솔직히 거리내는 채가 아닌데...

거리 편차가 아닌 그냥 부스터 맞은거 마냥 갑자기 멀리기는 현상에 가깝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이건 장점이 되는 경우도 있는데, 티샷 쪼루나서 유틸도 못잡는 험지에서 컨택만 신경써서 쳐주면, 말도 안되게 탈출해서 그린주변 날라가는 경험도 나와주긴 합니다.


개인적으로 중공아이언은 그린스피드 2.7 이하의 완만한 그린에서, 파3 짧은 코스에서 쓰기엔 괜찮지만 나머지 경우는 사실 애매했습니다.

추천 2 반대 0

댓글목록

중공구조 쓰는 프로들도 많은 걸로 알고 있는데 뻥거리는 조금 이해가 가지 않네요. 한클럽에서 두클럽차이가 갑자기 난다면 어떤 프로도 사용하지 않을거 같습니다. 중공 아이언으로 우승한 프로들도 있는데 그런 결함이 있다면 절대 프로들이 사용할리가 없죠 . 한타에 목숨거는 사람들인데... 정타와 비정타의 갭이 큰거는 아닐지...모르겠네요

    6 0

남자 프로 중에서 롱아이언 아니고, 567에 중공 넣는 프로가 있나요?

프로도 어차피 234는 유틸이나 롱아이언이나 온그린은 꿈에 가까우니 조금이라도 편한 중공 쓰는거죠.

    2 0

여자 프로들은 중공구조 아이언 제법 사용 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PXG나 타이틀 중공으로 우승한것도 있구요
일반 아마추어들은 여자 프로를 참고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남자프로들은 워낙 거리가 많이 나가니 일관성 있는 머슬이나 일반 아이언 사용하는거 같습니다.

근데 솔직히 갑자기 뻥거리가 난다면 아이언의 큰 문제인데 한회사도 아니고 거의 모든 회사들이 출시하고 , 많이 판매한다는 것도 생각해봐야 할거 같습니다.

    4 0

여자 프로들이 드라이버에 비해 아이언은 확실히 남자 아마추어 보다 짧은 선수도 많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자 프로들이 중공을 압도적으로 많이 쓰는 것도 아니고요.

유틸 많이 넣는 프로가 적은 이유처럼 중공 아이언도 마찬가지 이유 아닐까요.

    1 0

맞는 말씀입니다. 제대로 레슨 쭉 받은 아마추어들은 중공에서 뻥거리 경험하기 힘듭니다. 근데 레슨 조금만 받거나 독학의 경우 뻥거리는 스윙이 안 좋아서(프로들처럼 일정 템포로 치지 못하고 매번 뭔가가 개입되서, 예를 들어 오른손 쓴다거나. 왼쪽 골반 휙휙 민다거나 등등) 그렇죠.
그래서 아마추어 한정으로는 "중공은 뻥거리가 있다" 는 어느정도 유효하다고 생각해요.

    3 0

오히려 초보때는 뻥거리가 없엇구요... 다운블로 치기시작하면서 특정포인트 맞으면 스매시팩터가 튑니다... 투어프로한테 레슨받으면서 투어프로님이 알려주셧고 그래서 프로들중에 중공구조를 3번이나 4번에는 넣어도 풀로 쓰는사람 잘 없다고..... 트랙맨에서 비교시타하면서 ... p770 스매시팩터가 1.34 7번기준... 1.44까지 나오더라구요... 아이언이 스매시팩터가 1.44가 뜨는게 말이되나여...  볼스피드가 7번이 52에서 55까지 들쭉날쭉합니다...  그런데 단조아이언 바꾸자마자 바로 52로 딱 고정되고 안넘어갑니다 1년째 쓰지만 55쳐본적이 없네요  뻥거리는 분명 잇습니다..

    1 0

뻥거리의 영향은 여러 변수가 많은듯 합니다.
약간의 러프, 잔디도 플라이어가 나오기도 하고, 은근 위에서 부는 뒷바람도 무시 못합니다.
이에 꼭 아이언이 원인이라고 보기는 어려울것 같습니다

    0 0

스윙스팟에 맞았는지 보면 알 수 있지 않나요?
전 거리가 이상하다 싶으면 어디에 맞았는지를 먼저 보는데요.

    0 0

스윗 스팟요 ㅎㅎ

    1 0

스윗하셔라~ 감사~

    1 0

중공 아이언 쓰는 그 분들이 몰려올 만한 글이네요.

중요한 건 상급자 채에는 중공 아이언이 거의 없죠.
pxg에서도 0311t 모델 나오다가 최근에는 p까지만 나오지 않나요? 그리고 캘러웨이 apex pro 모델도 롱아이언만 중공입니다. 테일러메이드 p770은 상급자보다는 중급자에 더 가까운 채이고요.

상급자라면 아이언 비거리가 아니라 더 중요한 게 일관성이라고 생각해요. 상급자들이 선택을 안 하는 이유도 있겠지만, 메이커에서도 중공아이언의 한계점이 있기 때문에 출시를 안 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2 0

네 동감합니다 . 일관성이 떨어지는거지 한두클럽차이가 난다는 거는 이해가 안됩니다.

    3 0

같은말 아닌가요?

    0 0

? 일관성이 떨어진다는 거지 10~20미터 나 멀리 나가지는 않는다고 말씀드린 겁니다.

    1 0

좌우로 안가는 것도 일관성이고, 앞뒤로 일정한 것도 일관성입니다.

    2 0

네 맞습니다. 뻥거리는 앞으로만 10에서 20미터 캐리로 더간다고 해서 말씀드린겁니다

    0 0

중공구조가 비거리와 일관성 모두를 잡기 위해 나온거 아닌가요? 상급 랭킹의 골퍼들은 샷메이킹에 중점을 두는데 중공구조는 미스샷을 커버해 버려서 의도대로 구질이 안 만들어 진다고 그래서 MB 클럽 사용한다고 작년엔가 박상현 프로가 인터뷰하는 내용을 봤었습니다.
반면에 여성프로들은 거리랑 일관성에 중점을 많이 둬서 쉬운 클럽을 선호한다고 들었습니다.
진실 여부는 모르겠지만요^^

    2 0

맞아요.

아이언의 발전은 중공구조 입니다.
제가 예전에 ~  알기론 캐비티와 머슬의 장점들을 모아서 만들고 완성도를 높이는 목적인게
중공구조 아이언 입니다.

샷이 일정하지 않은니 중공구조의 뻥거리가 나오는거긴 하지만 ~ 아무리 일정해도 차이가 있는데 그차이에서 오차범위가 큰거에요.

형동생하는 ~ 2명 프로신데
P770. T200사용하시는데 뻥거리 물어봤는데 ~  못느끼신다고 하더라구요

결국 직선으로만 잘간다면 가장 좋으니, 매년 관성모멘트를 높이죠.

    1 0

캐비티가 나온 이유와 같죠. 중공구조와 캐비티의 차이는 크게 페이스면의 두께 차이 밖에 없습니다. 물론 예외로 테두리에 맞으면 차이가 발생하겠죠. 하나는 텅스텐이고 하나는 탄소강이니

    1 0

사실 일반 단조도 뻥거리가 나옵니다. 흥분하면요 ..
실제 프로들도 흥분하면 한클럽 두클럽 거리가 늘어나죠

    1 0

런은 770이 7CB보다 적습니다.
런이 많은 건 무게중심이 다르니 스윙이 달라져서 그런 게 아닐까요

    0 0



로봇 테스트

    6 0

ㅡ이정도면 둘다 좋은데요
뻥 나가는거는 스크린에서 그런게 아닐가 싶습니다

백스핀은 머슬이 무조건 높은게 좋은거라 생각합니다 프로들도 클럽테스트해보고 백스핀 많이 걸리는 클럽으로 사용한다고합니다

Cb mb차이가 없으면 cb를 쓰는거죠

    1 0

좌우편차가 줄어드네요.

그러면서 공은 똑바로 갔다고 생각되니 앞뒤편차가 더 크다고 느끼는 거겠군요.

    1 0

말씀해주신 부분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피드백 문제가 중공구조의 가장 큰 문제인 것 같아요. 약간 오프 센터에 맞았는데 똑바로 가면, 정타가 아닌데도 정타라 착각하고 내 샷거리감이 달라졌다고 생각하기 쉬우니까요. 감이 무뎌지지 않도록 조심해야죠.

좀 더 관용성 낮은 채들은 오프 센터에 맞으면 좌우로 좀 더 퍼지니까 정타가 아니라는 걸 바로 알 수 있어서 더 좋을 수도 있습니다.

    2 0

잘못알고 있었네요 일관성이 더 좋네요. 중공 아이언을 질러야 겠네요 ㅎㅎ 요즘 거리도 줄었는데 P790으로....

    1 0

개인적으로 중공으로 인한 오차보다 사람, 환경 오차가 커서 아마추어가 고려할 필요 없다고 생각합니다

    2 0

최대 단점은 페이스가 찢어진다는거 아닐까요?

    0 0

저 위에 두 단점은 중공구조의 단점이 아닌 스트롱 로프트 클럽을 사용하는 일관성이 부족한 초중급자 골퍼의 단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클럽에게 원하는 거리가 있지만 초중급자의 경우 해당 거리만큼 나오기 어렵기때문에 스트롱 로프트를 사용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눌러치지 못하고 퍼올리는 스윙으로 인해 높이 뜨지만 스핀량이 떨어지는 샷을 합니다.
이 경우 동일한 비거리를 보내도 스핀에 의해 공이 멈추지 않고 낮은 스핀으로 인해 런이 본인 생각보다 많이 발생하여 그린 위에 멈추기 어려운 것입니다.
그리고 위의 뻥거리 또한 일관된 샷을 하기 어려운 초중급자가 잘 맞은 샷으로 비거리가 많이 나온게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프로나 상급자가 스트롱 로프트로 치면 비거리가 많이 나와서 사용하지 않는데 30도로 140미터를 보내시던 분이 한두번씩 잘 눌러친 샷을 치게 되면 몇 미터를 가게 될까요?
클래식 로프트 30도의 기대 값은 대략 캐리 160미터 정도입니다. 이 마저도 프로들은 거리를 더 멀리 보낼 수 있습니다.
중공구조를 내부가 빈 구조로 만드는 클럽이라고 하면 최근에 나온 클럽 중에 중공이 아닌 클럽은 거의 없습니다.
T100도 내부를 비우고 텅스텐으로 채운 클럽입니다. 하지만 T100을 뻥거리에 그린 위에 못 세운다고 하지는 않죠.
반발력 충전재가 아니라 텅스텐을 사용해서 중공구조가 아니라고 하시는 분은 반발력계수가 높은 클럽이 얼마나 더 멀리가냐를 찾아보시면 됩니다.
대표적으로 비공인 반발계수를 가진 드라이버 유튜브에 테스트 한거 있으니 찾아보세요.
가장 먼거리를 가는 드라이버로도 일반 드라이버와 비교하여 캐리거리 10미터 차이입니다. 아이언에 반발력 충전재를 넣으면 얼마나 더 먼거리를 갈까요?

    3 0

중공 뻥거리 글 올라올때마다 적는 댓글이긴 하지만 뻥거리가 제대로 정타 맞춘 거리인거고 나머지 샷이 제대로 안맞은 샷들이 관용성으로 보상된 거리라고 봅니다

    5 0

p790 스크린에서 7번이 210미터가 나오던데...
제대로 정타 거리를 210으로 봐야하는건지... 애매하네요

    0 0

매년 나오지만 뭐 쳐본사람만 알수잇고..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느끼고잇습니다 중공구조의 뻥거리 경험해본사람만 알죠..... 필드에서 잘맞으면 기분좋은게아니라 겁이납니다..

트랙맨에서 프로님이랑 같이 실험도햇는걸요... 7번아이언이 스매시팩터가 1.34가 맞는데 1.44까지 찎어봣네요
비루한 몸이지만 7번 P770으로는 볼스피드가 52~56까지도 뽑아봣네요...  비거리는 뭐 150부터 170사이....
신기한건 중공구조 아이언 쓰기전에 V300쓸때는 그런경험이 1도 없엇구요.... 그리고 770 버리고 TC201로 넘어오고 다시 또 귀신같이 뻥거리가 사라졋습니다.. 딲 중공쓰던 1년만 그런경험이 잇구요..

트랙맨 레슨도하고 그래도 나름 80대 초반은 항상 유지하고 다운블로 -3~-4도 잘눌러치는 스타일입니다.. 7번 많이 쳐보신분들 알겟지만... 볼스피드 52~56나오는데 정타가 안맞아서 52라고 하기에는.... 지금 아이언은 일관적으로 51~52정도 비정타시 50정도지만... 770은... 비정타시 49... 정타시 52~56사이였습니다.. 이게 쓸어치면 뻥거리가 잘안나오구요... 잘눌러치면 페이스 중앙쪾으로 히트시 한번씩 터집니다 ... 쓸어치는분들은 평생 뻥거리 볼일 없습니다..

중공의 모티브인 편하게 멀리... 이건 맞습니다.. 스매시팩터가 말해줍니다 필요이상으로 찍어주더라구요.. 근데 다좋은데 이게 랜덤이라 미쳐버립니다.. 1.34 1.44 1.41 정타가 나면 얼마나 멀리보너스로 보내줄지 예측이 안됩니다.

    1 0

스매시팩터가 저렇게 왔다갔다하면 그날의 이전샷들로 당일 거리유추해서 클럽 선택하는 사람은 멘탈 터지겠네요 ㄷㄷㄷㄷ

    0 0

P770쓸때 기가막히게 7번이상만 뻥거리가나고 또 8번 9번은 괜찮더라구여... 그래서 피터한테 물어봣더니 770이 전 잘 모르는데 7번부터 뭐가 들어간다고 하더라구여 폼인지 뭔지가...

    0 0

저도 7번 스크린에서 치면 210 이상 나는 경우가 종종 있더라고요 어이가 없더라고요

    0 0

시타만 해오다가 작년에 처음으로 중공 들이고 주력으로 쓰고있습니다. 초기의 중공들은 빈느낌이라 싫었는데 최근모델들은 치는맛이 있습니다. 단조처럼 묵직하고 찐득하진 않아도 불만은 없는정도.. 골포에 D9소개했었는데 저처럼 주력으로 유지중이신분들이 또 있을지 궁금하네요

대표적으로 느낀바로는 공략스타일에 변화가 필요해서 적응시간이 좀 필요하다. 이후에는 이전에 비해 편안하다입니다. 아이언이 편해진 시간을 숏게임에 쓰고있습니다. 다운블로가 확실하고 일정한 수준의 골퍼에게 중공은 계륵과 같지만 그렇지 않은 초중-중상급자에겐 메리트가 더 많다고 생각합니다. 미스시 거리손실이 덜하고 좌우편차덜한건 좁은구장에서도 메리트가 있습니다. (여전히 한번씩 뻥 그린뒤로가서 곤란할떄가 나오긴하지만, 기존에 실수하고 한타 터 치는 확률보다 낮습니다)

130이상 거리에서는 잘 안서기 때문에 그린을 바로노리기보단 에이프런 맞고올리는 시도를 주로 택했는데 동일모델 당근질로 탄도 높여서 어느정도 해결했습니다 (다골95로 두단계 내림) 거리는 살짝 줄어도 이미 멀리나가는 상태라 탄도 높은게 유리하다고 생각했고 단단한류의 샤프트와 중공이 만나는 상황은 매우 비추합니다.

    1 0

P7MC 쓰고 있고, 시타로 770쳐봤을때 제 짧은 느낌은 헤드 스피드 느려도 거리 잘나간다 입니다. 글쓴님 같이 헤드 스피드 빠른 분은 편차가 있을것 같구요, 느린 아마추어들은 그냥 편하게 거리 가주는게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각자의 선택 아닐까요?

    0 0

뻥거리 없음. 아이언은 로프트와 샤프트길이가 거리의 90프로 이상임 나머진 탄도와 백스핀임 ㅋㅋ 계속 정타치면 같은 거리 갑니다 ^^;;

    1 0

뭐 본인의 작은 경험을 지나치게 일반화 시킨거 같네요. 그린스피드는 그냥 참고해라고 숫자로 불러주는거고
랜딩 지점이나 잔디결 혹은 잔디종류나 날씨 계절 기온에 따라 다 천차만별인데 적당한 근거도 없이 대충 몇번 친거 가지고 단호하게 결론을 내시는거 보니.. 한마디 드리고 싶네요

"채는 아무 잘못 없습니다."

    0 0



리모컨

맨위로
 댓 글 
 목 록 
회사소개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메일문의 Copyright © 딜바다닷컴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