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련링크
본문
오랜만에 글을 남깁니다. 다들 만수무강 하신지요.
중공아이언 관련 글을 보다가, 지인과 이야기를 해보니 중공구조 아이언 충전재의 역할에 대해 오해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고 판단(물론 저도 마찬가지였고요)하여, 물론 다들 아시겠지만 참고용으로 정보공유합니다.
중공구조 아이언의 핵심개념
중공구조 아이언의 핵심 목표는 관용성과 비거리입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무게를 최대한 아래쪽으로 배치해야합니다. 그러므로 아이언 속을 다 파내서, 그 질량을 모두 밑부분으로 배치하게 되면 관용성이 증가합니다.
둘째, 페이스를 최대한 얇게 만들어야 합니다. 페이스를 얇게 만들면 반발력이 증가합니다.
이렇게 아이언을 만들면 문제가 발생하는데 가장 큰 문제는 아이언의 내구성, 특히 페이스의 내구성입니다. 가뜩이나 얇아진 페이스에 이를 받춰주는 구조물이 없기때문에 충격 발생 시 깨질 우려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를 우레탄 폼 또는 다른 폴리머로 채워서 내구성을 보완합니다.
또한, 이러한 폼과 폴리머는 아이언이 속이 비면서 발생하는 진동과 타구음의 이질감을 조절하는 역할을 함께 하게 됩니다.
충전재 그 자체로는 반발력에 주는 영향이 없거나 매우 미약합니다. 아무리 페이스 얇아도 금속인데, 그 뒤에 있는 폴리머 충전재가 금속의 반발력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중공형태에 충전재가 없다면, 다른 이야기일수도 있으나, 중공구조 뻥거리 논란의 중심에는 대부분 충전재가 들어있는 아이언들이 논의되고 있어서 충전재가 없는 중공아이언에 대한 언급은 패스합니다.)
결론은 하기와 같습니다.
1. 중공구조 아이언의 비거리는 매우 얇아진 페이스로 인한 반발력에 기인함
2. 중공구조 아이언의 관용성은 아이언 속을 파낸 뒤, 그 질량을 하부에 배치하면서 증가함
3. 충전재의 역할은 상기 1, 2 구조의 내구성, 진동/사운드 향상을 위해 사용됨
4. 충전재가 아이언의 반발력 자체에 끼치는 영향은 없거나 극히 낮음
즉, 중공구조는 결국 캐비티백의 극단적인 형태일 뿐이며, 비거리에 충전재의 역할은 매우 미약(또는 없음)하므로, 다른이유로 중공구조 뻥거리가 발생한다면, 이러한 현상은 캐비티 백에서도 유사하게 발생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다들 아시는 내용이셨다면 죄송하며, 한분이라도 참고하신다면 보람이 있을 것 같습니다.
부족한 인간이다 보니, 반박이 있다면 환영합니다. 저도 다른식견이 있다면 배우고 싶습니다.
아무튼 즐골 하시고, 새해복많이 받으세요. 꾸벅.
In hollow body irons, foam, often referred to as "SpeedFoam" by manufacturers like TaylorMade, plays a crucial role in managing vibrations, improving sound and feel at impact, while also helping to optimize ball speed and launch by strategically distributing weight within the hollow head; essentially allowing for a blend of power and playability in a design that prioritizes forgiveness due to its hollow construction.
- Vibration dampening:The foam material absorbs shock and vibration generated at impact, leading to a more solid and pleasing sound and feel for the golfer.
- Weight distribution:By placing foam strategically within the hollow head, designers can fine-tune the center of gravity (CG) to promote higher launch and optimal ball flight.
- Face flexibility:Foam can support a thinner, more flexible club face which can increase ball speed at impact.
- Player preference:The foam allows manufacturers to create hollow body irons that still maintain a good "feel" for better players, something that might be compromised with a completely hollow head.
![]() |
![]() |
![]() |
![]() |
![]() |
댓글목록
![]() |
동의합니다! |
![]()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그동안 잘못 알고 있던 내용들이 많네요. |
![]()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사실 중공구조 뻥거리 논란이 있을 때마다 저는 캐비티백 쓰는데 왜 가끔 뻥거리가 날까 고민하긴 했었습니다. ㅎㅎ 어디가서 말도 못하고. |
![]() |
네 사실 저도 중공구조 뻥거리가 없다고 속단할 수는 없겠지만, 만약 있다고 한다면, 충전재 때문은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무게중심이 하부에 상당부분 배치된 캐비티백에도 유사하게 발생할 수 있어야 한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었습니다. 도움되었다니 감사합니다. |
![]() |
좋은 공부 되었네요 ^^
|
![]() |
좋은 공부되었습니다. 이러한 연구글은 언제나 재미있네요
|
![]() |
뻥거리는 실존합니다.
|
![]() |
zx7 7번 평균 145 보고치는데 가끔 잘맞으면 165도 갑니다 p770 쓸때도 145정도 였는데 잘맞으면 165정도 가더라구요
|
![]() |
전 주로 트랙맨에서 연습하는데 ... 연습때도 스매시팩터가 쭉쭉튀는데.. 단조헤드는 그런게 없습니다... 튀어봐야 1.34에서 1.36..... 거의 미미하죠.. 이게 정상인데 ... 770 은 1.35부터 1.45... 기계 오류겠거니.. 프로님이 쳐도 동일하구요 뭐 대다수 사람들이 정타 비정타로 생각하시니.. 제 레슨해주시는 투어프로님이 정타를 못내시는걸로 결론 냇습니다 논쟁이 의미가 없네요 |
![]() |
제 지식이 레벨업 되었습니다~ |
![]() |
아이언이 중공구조 때문에 뻥거리라면 드라이버, 우드, 유틸은...? |
![]() |
오 설득된다요 |
![]() |
고반발=시니어채의 영버전 정도?
|
![]() |
제 사견으로도 뻥거리 논란은.. 그만큼 평소에 심하게 정타가 안났던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드네요
|
![]() |
뻥거리 = 우연히 정타
|
![]() |
우연한정타라고하면 어떻게보면 미스샷입니다 꾸준히 맞춘샷이 아니니까요
|
![]() |
정보 감사합니다 |
![]() |
오! 프로님들도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
![]() |
제가 같이 공 친 투어프로는 중공 뻥거리 있다고 하시던데... |
![]() |
적어주신 내용을 보고 생각해봤는데
|
![]() |
우리가 매번 정타치는 것도 아니고 정타문제로 몰아가면 안된다고 봅니다. 일상적인 사용에서 뻥거리 나오면 그게 현상인거죠. 정타가 아닐때 보완해 주는 초/중급 채인데 뻥거리로 거리에 문제생긴다면 사용에 지장이 있는거죠. |
![]() |
아이언 자체도 본인한테 맞게 제작하는게 프로들이고
|
![]() |
좀 다른 말이긴 한데 궁금한게
|
![]() |
T100이나 150은 특유의 얇은 철판 중공이라고하긴 그렇고 T200 정도는 중공느낌이 나긴햇던거 같습니다. |
![]() |
참 그 나누는 선이 애매한거 같긴 합니다. |
![]() |
저는 좀 극단적으로 백스윙 탑에서 바디턴 + 샬로잉을 통해 쭈욱 스트레이트로 때리는 완벽한 스퀘어 투 스퀘어 스윙을 합니다. 내리는 과정도 스퀘어를 벗어나지 않기에 정타율에 목숨 건 스윙이죠. 그래서 요새 뻥거리를 느껴본 적이 단 한번도 없네요.
|
![]() |
머리속으로 대충 이해하던 내용을 정리해주시니 명쾌하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
많이 배우고 갑니다!!!!! |
![]() |
중공구조 뻥거리에 대해서 피터로써 이야기하자면
|
![]() |
관련 없는 이야기지만 피터가 되려면 어디가서 피팅을 배우나요? |
![]() |
좋은 글 감사합니다. |
![]() |
오 굿 포인트 입니다. 깊게 생각해보지 않았지만 어렴풋이 이렇지 않을까 했던게 명확해지네요
|
![]() |
중공을 1년넘게 써보고 경험한걸 이야기햇지만 뭐 정타 비정타로 만 항상 답변이 나오니 ㅋㅋㅋ 제 레슨해주시는 투어프로님이 정타를 10개중에 4개밖에 못맞추는걸로 결론냈씁니다.. ㅋㅋㅋㅋㅋㅋㅋ투어프로님이 중공구조 뻥거리 이야기해주시면서 실험햇었거든요.. 프로님 정타율이 형편이없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