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련링크
본문
중공구조 아이언으로 우승도 하고 투어 뛰는 프로들도 있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만약 미들아이언이 갑자기 한 두클럽 더 나간다면 사용을 할까요? 핀보고 쏜게 그린 오버나 패널티구역으로 들어갈텐데....아무리 스폰받는다고 해도 한 두타에 목숨걸고 상금이 왔다 갔다하는데 사용할수 없을거 같습니다.
제조사들도 아이언 홍보할때 빠지지않는 단골 멘트가 비거리 증가인데 날밤새서 연구해서 출시하지 않을까요?
그리고 뻥거리가 있다면 심각한 결함이 있는 아이언입니다. 그걸 거의 모든 제조사가 출시하지도 않았을거 같네요
물론 갑작스런 거리 증가를 경험해 보신 분들도 있겠지만 중공구조라서가 아니라 뭔가 다른 요인이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 |
![]() |
![]() |
![]() |
![]() |
댓글목록
![]() |
중공구조 아이언으로 우승한 프로 누가 있나요? 몰라서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
![]() |
리디아고 0311p 브룩헨더슨 p790 조아연 0311T 황정미 t200 ... 우승했던걸로 알고 있습니다.
|
![]() |
https://www.golfmonthly.com/gear/gear-news/brooke-henderson-whats-in-the-bag-181993
|
![]() |
조아연은 커버만 PXG 이고 실제는 다른드라이버 쓴걸로 알고있습니다.
|
![]() |
곰곰히 생각해보니 특정아이언 사용시 특히 더 잘나왔던거 같습니다. 6 번 9번...
|
![]() |
PGA투어 3승을 기록중인 제이슨 코크랙이 PXG 중공구조 아이언을 사용해서 우승했습니다.
|
![]() |
뻥거리가 단순히 거리가 많이나간다의개념으로 보면안됩니다 누구는 영혼의정타로 제거리가나가는거라하는데 프로들은 정타든미스샷이든 똑같은 스윗스팟에 맞출확률이 높겠죠 그럼 뻥거리가 본인거리로 인식할수있습니다. 같은거리를 계속칠수잇단 얘기죠. 반대로 같은 스윗스팟에 잘 못맞추는 아마추어는 거리가 길든짧든 결국 "관용성"이 떨어진다는얘깁니다. 관용성이떨어지는장비를 궂이 아마추어가 쓸이유가있을까요? |
![]() |
일리있는 말씀입니다. 관용성이 떨어진다고 보는게 맞는데 그럼 비정상적으로 짧은 샷 또는 좌우로 가야하는데 그건 또 아니니 애매하기는 한거 같습니아 |
![]() |
중공 아이언이 관용성이 떨어진다고요? |
![]() |
비거리가 들쭉날쭉인데 관용성이 있다고 보시나요?
|
![]() |
관용성이 아니라 일관성이 맞는말입니다
|
![]() |
관용성 이라니까 헷갈리시는 듯 합니다
|
![]() |
대다수의 프로들을 보면 중공구조를 안씁니다.... 그리고 쓰더라도 3번이나 4번... 거리가 필요한 클럽에서만 사용하구여.. 생각보다 중공구조로 풀클럽 구성한 프로는 통계를 보진 못햇지만 아마 3프로도 안될거라고 봅니다...
|
![]() |
관용성의 문제인거죠 . 애매하기는 한 문제 인거 같습니다. |
![]() |
이게 참 애매한 문제긴합니다.. 제조사에서도 분명 인식하고잇을텐데.. 단순 너가 정타 못내서 그런거다.. 정타나면 뻥거리 없다 이렇게 넘어갈 문제는 아닌거같습니다. |
![]() |
시니어 고반발 아이언 같은 경우도 비슷한 것 같아요.
|
![]() |
소위 말하는 뻥거리 샷이 그 채가 낼수 있는 능력치 최대값에 근접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말도 안되는 비거리가 물리 법칙을 거슬러서 나온건 아닐테니까요.
|
![]() |
이러한 것에 해당하는 말이 consistency 즉 일관성입니다
|
![]() |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제 뜻은 사실 중공구조 아이언이 일관성이 떨어지는게 아니라 스윗포인트가 엄청나게 작아, 정타를 맞추기가 극히 어려워서 평소 샷은 대부분 미스샷이고 100개 중 한번 정타 맞는게 아닐까라는 생각입니다. 그렇다면 논란이 되는 뻥거리가 사실상 정타라면 미스샷과의 편차가 대단히 크니까 관용성이 대단히 떨어지는게 아닌가라는 의견입니다. |
![]() |
근데 솔직히 답이 안나올거 같기는 합니다. 제조사에 물어봐도 당연히 없다고 할거고 누구는 있다 누구는 없다이니.... 풀리지 않는 미스테리네요 |
![]() |
급발진같은 문제 일까요? ㅋㅋㅋㅋ 분명 있다고 하는 사람은 많고... 실제로 실수로 악셀 밟아서 나온 사람들도 잇긴하고.. 제조사는 인정하기 싫고... 참 애매하죠 |
![]() |
중공하고 캐비티는 그냥 페이스 두께 차이 뿐이 없는데 중공구조 뻥샷 100% 나면 캐비티는 80% 정도는 나야 정상 아닐까요. |
![]() |
중공구조의 가장 큰 문제는 제 생각에 무게중심이 너무 낮다는 데 있습니다. 탄도 확보에는 좋아서 비거리에는 이점이 있으나 대신 드로우 페이드, 탄도조절하기는 불리하죠.
|
![]() |
네 아마추어야 거리때문에 쓰는데 프로 특히 남자프로들은 거리야 뭐 .. 정확성이 우선이죠 |
![]() |
P790 출시 하자마자 사용했었고 바꾼 이유중 가장 큰게 거리가 너무 많이 날라가서;;; 물론 뻥거리 경험도 있었구요. 뻥거리 실제로 플레이중 나오면 엄청 황당합니다 ㅎㅎ 일반 아이언도 디로프트 되면서 덮여맞는 경우 잘맞은 타감에 당겨지면서 엄청 멀리 나갈때 있는데 그샷이 똑바로 겁나 멀리 날아가 버리는 느낌이랄까;;; |
![]() |
오.. 표현 참 정확한것 같습니다.
|
![]() |
오 중공구조 뻥거리 논란이 이게 맞지 않을까요?
|
![]() |
중공 구조 뻥거리 얘기에 프로들의 사례를 끌고 오는 것이 과연 적합한지는 모르겠습니다.
|
![]() |
스윙의 일관성문제가 아닙니다.. 스윙의 일관성이없다 = 헤드스피드가 일정하지않다의 문제인데 뻥거리의 근원은 헤드스피드가 달라서 나는 문제가 아닙니다..
|
![]() |
관용성이라는 말을 잘못이해하신분들이 많네요.
|
![]() |
관용성이 forgiveness라서 이표현이 맞는말이지요...
|
![]() |
중공아이언이 뻥거리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
![]() |
경험을 해보면 플라이어 너무 잘맞은것과는 차원이 다릅니다.
|
![]() |
대다수의 일반 골퍼는 프로가 아니니깐요,,
|
![]() |
프로가 중공아이언 안쓰는 이유는 뻥거리 보단 샷메이킹에서 불리하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
![]() |
저도 주변에 프로가 4명뿐이라 다 물어보진 못햇지만.. 클럽테스트후 중공 안쓰는 이유는 거리편차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중공도 샷메이킹 됩니다..다만 스핀량의 문제나 거리편차 이런 이슈가 크다보니.. |
![]() |
아마 - 대부분 샷이 정타근처를 안옴. 차라리 편향적으로 맞으면 괜찮은데 아니라 온 사방 랜덤으로 맞음. 그래서 가끔 정타 맞았을때 거리 편차가 심각할수도 있음... 아마는 항상 생각해야 된다... 내가 갑자기 잘못치는걸 더 잘못쳐서 너무 잘맞아서 사람 맞출수 있다는것음. |
![]() |
정타 스매시팩터 1.33..... 정타 뻥거리 스매시팩터 1.33~1.47 이게 문제인겁니다... 정타 비정타의 문제가 아닙니다.. |
![]() |
1.33~1.47의 오차라면 하나는 정타가 아닌겁니다.
|
![]() |
정타가 아니라니요.... 네 .... 레슨해주시는 프로님이 정타도 못치는 사람이엇군요 |
![]() |
아이언으로 1.47의 스맥시팩터가 나오는게 이상한거 아닐까요? |
![]() |
그렇죠 1.47이 나온다는 사실이 이상하고 그부분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겁니다.. 아이언이 이렇게 나오는게 맞는건지.. 나올수가 없다고 보거든요 나오면 안되는거죠 |
![]() |
뻥거리는 마디샤프트에서도 나오던 얘기는 맞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