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견은 버린 사람을 기억할까? [개st상식]

이성훈 2020. 9. 13. 10: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복장, 냄새, 목소리..개들의 맥락 기억법(associative memory)
"절 버리지 마세요" 반려견 유기는 전 세계적인 문제이다. 소득 수준이 높은 유럽, 북미 지역에서도 수십만~수백만 마리가 매년 버려지며, 구조된 유기견의 약 50%는 안락사 당한다. 출처: onegreenplanet.org


한국에서 한해 버려지는 반려견은 10만 마리가 넘습니다. 반려견산업이 발달한 프랑스, 미국에서도 매년 각각 30만 마리, 300만 마리나 버려집니다. 비싼 치료비, 돌봄 어려움, 가족 반대 등 불법 유기의 동기는 다양합니다. 개를 버리는 사람 상당수는 현장을 떠나며 개가 자신을 잊어주기를 바란다고 하네요.

과연 유기견은 버린 사람을 잊을까요? 잊으려면 시간이 얼마나 필요할까요? 동물행동 전문가들 연구 결과를 살펴보겠습니다.

"여기서 헤어졌는데..." 출처: sosvox.com

개는 맥락을 기억한다

인간과 개는 하나의 사건을 기억하는 방식에서 서로 다릅니다.

인간은 연월일시 등 연속된 시간 흐름 속에서 하나의 사건을 기억합니다. 이를 에피소드 기억(episodic memory)이라고 부릅니다. A라는 사건을 B, C, D 등 주변 사건과 연결하는 방식이죠. ‘제주도 여행이 참 좋았어. 그 전날이 결혼기념일이었지?’ 같은 패턴입니다.

개들은 시간 감각이 없는 대신 냄새, 소리, 물건 등 생생한 단서를 바탕으로 사건을 떠올리는 맥락 기억(associative memory)에 의존합니다. 예컨대 ‘우리 주인은 산책할 때 목줄을 잡고 신발을 신는다’는 걸 포착하는 식입니다. 그래서 보호자가 목줄을 만지거나 신발을 신는 것만 봐도 산책을 가는 줄 알고 신이 납니다.

"헤헤, 이거 들면 산책 가는 거 맞죠?" 출처: cesarsway.com


미국 웨스턴온타리오대학 심리학 교수 윌리엄 로버츠는 2002년 미국 심리학회에 낸 저널에서 “개와 4살 미만의 인간 어린이는 맥락을 기억한다”고 분석합니다. 인간 아이도 4살 전까지는 시간의 흐름을 모릅니다. 주변 분위기와 사물을 바탕으로 상황을 파악하는데, 개의 맥락 기억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우리 개가 지팡이를 싫어하는 이유

그래서 개들은 특정 사물에 예민합니다. 차가운 철제 책상에서 따끔한 주사를 맞아본 개들은 이후 책상 위에 올라가면 바싹 긴장하죠. 마찬가지로 외형, 목소리, 냄새 등을 종합해서 이 사람이 좋은 사람인지, 난폭한 사람인지 10초 안에 판단합니다.
"손 내밀지 마세요" 처음 보는 개에게 손을 불쑥 내미는 건 위험하다. 그 개의 과거 경험을 알지 못하기 때문. 반대로 개가 다가오도록 기다려주는 것이 적절하다. 출처: insider.com


과거 학대를 당한 개들은 비슷한 사람과 도구를 경계합니다. 예를 들어 지팡이를 든 남자나 머리가 긴 여자를 두려워하고 공격하려 한다면 그 개는 과거에 비슷한 사람에게 학대당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여러분의 개가 특정 상황에서 공격적으로 돌변하나요? 무작정 화내거나 목줄을 잡아당기는 건 좋지 않습니다. 부정적인 기억을 떠올리게 하는 매개물을 찾아내서 다시 좋은 기억을 심어주는 게 바람직한 해법입니다.

같은 막대기라도 신나는 장난감 혹은 두려운 몽둥이로 기억될 수 있다. 출처: telegraph.co.uk

개들은 예전 가족이 그리울까

유튜브에 ‘개’와 ‘군인’을 키워드로 검색하면 그들이 재회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개들은 몇 년 동안 친구나 가족의 보살핌을 받았지만, 즉시 예전 보호자를 알아보고 달려갑니다.
"이게 누구개!!!" 2년여 파병 생활을 마치고 돌아온 군인을 반려견들이 반겨주는 모습. 출처: gfycat.com


동물행동학자 패트리샤 매코넬 박사는 개가 예전 가족과 재회하는 여러 현장을 방문했습니다. 그에 따르면 개들은 예전 가족을 분명히 알아봤습니다. 다만 방문이 끝날 때는 기꺼이 새로운 가족에게 돌아왔습니다.

이전 주인, 만나는 게 좋을까

여기서 매코넬 박사는 질문을 던집니다. “개가 이전 주인을 만나는 게 좋을까요?” 지금까지의 반려견 연구를 종합한 결과 매코넬 박사는 “몹시 신중해야 한다”고 경고합니다.

이전의 연상기억이 강력하게 작동하기 때문인데요. 과거 경험은 개의 현재 삶을 흔들어 놓습니다.

만약 과거의 주인이 개를 학대했다면? 그의 방문은 반려견 정신건강에 좋지 않으며, 심지어 전 주인을 공격할 수도 있습니다. 개가 이전 주인과 애틋한 관계였다면 어떨까요? 지금의 보호자가 만족스럽지 못하다면 개는 이전 주인과 다시 살고 싶어할 텐데, 이건 가능한 일이 아니죠.

지난 2018년 미국 오하이오주의 도로변에서 발견된 유기견. 개의 몸에는 "공짜" "잘 사는 집만 데려갈 것"이라고 적혀 있었다. 유기범은 동물학대죄로 실형을 선고받고 반려견 양육 자격을 박탈당했다. 출처: Ross County Humane Society


"내 이름은 마벨라(기적)!" 유기견은 보호소의 돌봄을 받고 한달 뒤 마당이 넓은 집으로 입양갔다. 보호소 측은 "한 마리의 유기견을 돌보는데 평균 278달러(약 33만원)가 든다. 많은 기부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출처: Ross County Humane Society


매코넬 박사는 개가 현재 사랑하는 사람에게 버림받은 기분을 느낄 수도 있다며 이전 주인과의 재회를 권하지 않습니다. 그는 “어떠한 재회 이후에도 모든 개는 기꺼이 현재 가족에게 돌아갔다”고 말합니다. 그나마 다행이군요.

결론적으로 개들은 이전 주인을 또렷이 기억합니다. 그 기억은 흘러간 시간과 무관하게 함께했던 당시의 복장, 냄새, 목소리 등 정황으로 남습니다. 그 잔상은 현재 삶에 영향을 줄 만큼 강력합니다. 가급적 이전 보호자를 만나지 않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성훈 기자 tellme@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