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내 몸에 손대지마”…경찰 4명 ‘만취 여성’ 대응 논란

입력
수정2018.11.08. 오후 1:57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방치 아니냐” vs “성추행 신고 당할라”
경찰, 주취자 여성 신체 접촉 거부…119 이송 등 보호조치 다해
일각서 ‘긴박한 상황’ 임에도 같은 대응하겠냐 지적
앞서 만취 여성 머리채 잡은 경찰 대기 발령
지난 6일 오후 6시께 대전 용전 지구대 앞에 한 여성이 쓰러져있다. 이를 둘러싼 경찰 4명은 별 다른 조처를 하고 있지 않다. 경찰은 해당 여성이 신체 접촉을 거부해 119에 신고, 이를 대기하고 있던 상황이라고 해명했다.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아시아경제 한승곤 기자] 쓰러진 여성을 보고도 긴급조치 등 아무런 조처를 하고 있지 않은 경찰의 사진이 논란이 되고 있다. 경찰은 해당 여성이 신체 접촉을 거부하는 등 경찰의 보호조처를 거부해 119구급대가 올 때까지 주취자를 보호하고 있었던 상황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긴박한 상황에서도 신체 접촉을 거부하면 그대로 따르겠냐며 경찰 대응에 대해 지적했다. 쓰러진 여성이 생명에 위협이 있는 촌각을 다투는 긴급한 상황임에도 마찬가지로 대응하겠냐는 것이다.

문제의 사진은 지난 6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사진이다. 사진을 보면 한 여성이 쓰러져 있지만 현장에 있는 경찰 4명은 별 다른 조처를 하고 있지 않다. 사진을 올린 게시자는 “이게 미투의 현 주소다”라고 말했다.

사진을 본 네티즌들은 “여성이라 손에 몸을 댈 수 없었던 것 아닐까”, “119 구급대를 부르고 대기하는 상황 아닐까” 등 수백개의 댓글이 달리면서 논란이 확산했다.

파문이 확산하자 사진 속 관할 대전 용전지구대 경찰 관계자는 8일 오전 ‘아시아경제’와 통화에서 “문제의 사진은 지난 6일 오후 6시께 지구대 앞에 만취한 여성이 누워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경찰이 보호조치를 하지 않거나 그대로 방치한 것이 아니냐는 일부 지적에 대해서는 “해당 여성이 ‘내 몸에 손대지 마’라고 말하며 경찰의 조처를 거부했다”고 강조했다.

경찰 관계자는 이어 “주취자 보호를 위해 119구급대를 불렀고 사진 속 경찰들은 여성을 보호하고 있었다”며 “방관하거나 내버려둔 것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다만 경찰은 최근 불거진 경찰의 ‘여성 주취자 조처’ 논란에 대해서 알고 있다면서 의식을 하지 않을 수는 없었다고 덧붙였다.

지난9월3일 오전 5시30분께 서울 강남구 신사동 인근 한 건물 앞에서 경찰이 만취한 여성의 머리채를 붙잡고 있는 모습.사진=온라인 커뮤니티


해당 사건은 지난9월3일 오전 5시30분께 서울 강남구 논현동 건물 앞 길바닥에 만취한 여성이 주저앉아 있는 것을, 현장에 출동한 경찰이 여성의 머리카락을 움켜쥔 채로 2~3차례 앞뒤로 흔들면서 불거진 논란이다.

당시 현장에 있던 한 시민이 휴대전화로 7초 안팎의 동영상을 촬영, 소셜네트워크(SNS)에 올리면서 ‘과잉대응’, ‘부실대응’ 논란이 불거졌다.

영상을 접한 시민들은 “여성이 경찰을 위협하지 않았는데도 머리채를 잡았다”면서 비난했다. 또 다른 시민들은 “다른 경찰까지 욕먹게 한다”는 댓글을 달았다. 그런가 하면 다른 시민은 “잘못하면 성추행으로 몰릴 수 있는데, 답답하다”라는 의견을 보였다.

당시 경찰은 “귀가 조치를 위해 부른 택시가 도착할 때까지 여성 머리가 바닥에 부딪히지 않도록 붙잡고 있었던 것”이라며 “여성과 신체 접촉을 최대한 피하려다 보니 (피부가 아닌) 머리카락을 쥐었다”는 취지로 해명했다. 그러나 해당 경찰은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대기 발령 조치를 받았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경찰은 여성 주취자 대응에 난감함을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 경찰서의 ‘주취자 대응 매뉴얼’에 따르면 ‘신체 접촉 최소화’ 원칙이 있는 것으로도 알려졌다. 주취자 대응은 매뉴얼에 따라 하면서도 불필요한 논란 자체는 최소화하겠다는 것이다.

한편 지난 6일 해당 여성을 실제로 이송한 119구급대원은 “해당 여성은 40대 여성으로 ‘몸에 손을 대지 말라’는 말은 들은 기억이 없다”며 “구급차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혈압 체크 등을 마친 뒤, 병원으로 이송을 마쳤다”고 설명했다.



한승곤 기자 hsg@asiae.co.kr

▶ 아시아경제 친구 맺고 '휴대폰, LED마스크' 받자
▶ 재미와 신기 '과학을읽다' ▶ 놀라운 '군사이야기'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