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마는 소리로 소통한다…꽥~ 척 듣고 친구인지 알아

입력
수정2022.01.25. 오후 3:39
기사원문
조홍섭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애니멀피플]
1㎞ 밖까지 들리는 소리로 친구·이웃·침입자 구별…낯선 소리엔 ’배설물 날리기’ 반응도
알려진 것과 달리 하마는 소리를 많이 내며 소통하는 사회적 행동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콜 마테본 제공.


초식동물인 하마는 순하고 둔한 이미지와는 달리 해마다 수백명의 인명을 앗아가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위험한 동물인 데다 1500㎏의 큰 몸집과 짧은 다리에도 시속 30㎞까지 질주한다. 여기에 새로운 면모가 추가됐다. 하마는 소리로 사회적 소통을 하는 꽤 시끄러운 동물로 밝혀졌다.

밤 동안 하마는 홀로 육지에 나와 35㎏에 이르는 풀을 뜯어 먹지만 낮에는 물에서 수컷 우두머리와 여러 암컷과 새끼 그리고 주변부 수컷들로 이뤄진 무리를 지어 지낸다. 니콜라 마테본 프랑스 장모네 대 교수팀은 이처럼 무리를 이룰 때 하마끼리 서로를 알아보는지 궁금했다.

연구자들은 여러 개의 호수에 하마가 서식하는 모잠비크 마푸투 특별보호구역에서 흥미로운 실험을 했다. 한 무리의 하마가 내는 소리를 녹음해 호수의 다른 무리와 다른 호수의 하마 무리에 들려주고 반응을 살폈다.

하마의 대표적인 소리

하마는 보통 다양한 소리를 낸다. 꿀꿀거리거나 우렁찬 고함을 지르기도 하고 높고 긴 꽤액 소리를 내기도 한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크고 높은 소리로 ‘꽥’하는 외침에 이어 ‘꿀꿀’하는 울림 음이 뒤따르는 특유의 소리로 가장 흔하기도 하고 연구자들의 측정 결과 1㎞ 밖에서도 들렸다.

녹음된 소리를 들은 하마는 같은 소리로 응답하거나 스피커 쪽으로 다가서거나 꼬리를 휘둘러 배설물을 흩트렸다. 마테본 교수는 “같은 무리나 같은 호수의 다른 무리의 소리를 들려주었을 때보다 다른 호수의 낯선 무리가 내는 소리를 들려주었을 때 훨씬 강한 반응을 보였다”고 말했다. 낯선 하마의 소리를 들었을 때는 종종 배설물을 흩날리는 영역 표시 행동이 나타났다.

물에서 무리를 짓는 하마는 주변에서 들려오는 소리에 신경을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니콜 마테본 제공.


연구자들은 하마가 영역을 지키는 외톨이이지만 자기 무리의 친구와 같은 호수의 이웃 그리고 다른 호수의 낯선 하마를 소리로 구별한다고 밝혔다. 마테본 교수는 “하마는 물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번 연구결과를 보면 주변에서 들려오는 소리에 신경을 집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며 “호숫가 스피커에서 들려오는 다른 하마의 소리에 즉각적으로 반응한다”고 말했다.

하마는 1㎞ 이상 멀리 떨어진 곳에서 들려오는 소리로 그 하마가 친구인지 침입자인지 구별할 가능성이 있다고 연구자들은 밝혔다. 이런 행동은 “많은 하마가 한 웅덩이에 모여들 수밖에 없는 가뭄 때 주변에 누가 있는지 알아야 공격성을 누그러뜨릴 수 있기 때문에 진화했을 것”이라고 연구자들은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효과적인 하마 보전에도 응용될 것으로 연구자들은 기대했다. 건강한 하마 집단을 유지하기 위해 종종 하마 일부를 다른 집단으로 옮긴다. 마테본 교수는 “새로운 서식지 하마 무리에 옮겨갈 하마의 소리를 들려주거나 반대로 새 서식지의 소리를 이주 대상 하마에게 미리 들려줘 익숙하게 한다면 공격적인 행동을 누그러뜨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거대하고 날카로운 하마의 송곳니와 앞니는 강력한 무는 힘과 함께 하마를 아프리카에서 가장 위험한 동물로 만들었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하마는 최근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들어 2017년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2017년 취약종으로 평가됐다. 하마는 매우 공격적이고 예측하기 힘든 성격이어서 보트를 뒤집는 등 아프리카에서 인명피해를 가장 많이 일으키는 동물로 꼽힌다. 50㎝에 이르는 송곳니와 앞으로 삐죽 튀어나온 40㎝ 길이의 앞니가 가공할 무기이다.

이 연구는 25일 과학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실렸다.

인용 논문: Current Biology, DOI: 10.1016/j.cub.2021.12.017

기자 프로필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로서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