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련링크
본문
기어이 기사가 떳네요.
14명 약 10프로 선수의 기권.
us 오픈과 같은 시기에 경기를 해서
더 비교가 확실히 되는거 같네요.
저도 선수들 기권(부상등은 제외)은 제제가 좀 있어야 한다 쪽의 생각인데
다들 어떤 생각이신가요?
아래는 기사 링크 걸어 둡니다.
https://sports.news.nate.com/view/20250617n02412?mid=n1007
![]() |
![]() |
![]() |
![]() |
![]() |
댓글목록
![]() |
프로정신없는거죠. |
![]() |
트리플 보기에 포기 선언은 좀 놀랍네요
|
![]() |
모든 대회가 변별력 있도록 난이도 좀 올렸으면 좋겠습니다. 지들도 모든 대회 다 기권하지는 않겠죠 |
![]() |
그러게요 난이도는 조정이 좀 필요 한 거 같습니다. |
![]() |
기권하면 다음 1-2개 대회 출전불가 정도 페널티 있으면 좋을듯 합니다 |
![]() |
네 저도 그리 생각 합니다.
|
![]() |
기사를 보니 하위권 선수들이 기권한것 같은데 우리가 언제 하위권 선수들에게 응원이나 신경을 썻는지 의문이네요
|
![]() |
하위권 선수라고 기권이 좋은 선택은 아니지 않을까요?
|
![]() |
참가비, 비용, 프로라는 단어를 사용하셨는데 그럼 그들이 추구하는 바가 뭐였을까요? '상금'이 제일 큰 원동력 아니었을까요?
|
![]() |
댓글 안달려고 했는데 생각이 너무 이상적이네요~
|
![]() |
기권하면 해당 라운드 최고 많은 타수 +1 처리 해버리고 컷탈락 처리 혹은 다음 대회 출전불가 같은 처리하면 좋겠네요.
|
![]() |
리더보드 찾아보니 1라운드 하고 컷탈락 순위에서 2라운드 기권을 한 경우가 대부분이네요.. |
![]() |
그러게요 컷 탈락 할거 같으면 기권을 갈기는 식으로 해버리니 참 이게 씁쓸합니다. |
![]() |
기권은 거의 부상으로 인한 기권입니다. 운동선수들 부상 한두개는 다 달고 삽니다. 병원가면 무조건 진단서 나옵니다. |
![]() |
일반인도 정형외과 가서 진단서 발급해 달라고 하면 염좌나 기타등등의 사유로 2주는 나오네요 생각해 보니,
|
![]() |
진단서 제출이야 일도 아니죠.
|
![]() |
제가 씁쓸하게 느껴지는 부분이 딱 저부분입니다.
|
![]() |
위에도 댓글 다셨지만..
|
![]() |
직업 선택의 자유 영역 아닌가 싶은데 솔직히 왜 이거 가지고 뭐라고 하는지 모르겠어요. 기권하는 선수가 좋아서 기권하는것도 아니고 말이죠. us open이랑 비교하는데, 대회 권위는 참가하는 선수들이 만드는게 아니라 역사와 협회가 만드는거 아닐까요. |
![]() |
타이거도 기권하는거 생각해보면 일률적으로 얘기하기도 힘든것 같습니다. |
![]() |
굳이 문제가 될게 있나 싶은데여...
|
![]() |
기권할 때 사유를 써 놔야하는 걸로 아는데 대부분 부상으로 기재 한다고 합니다.
|
![]() |
어느 종목이든 탱킹성 행위는 선수나 구단의 운영 방식이 되어 막을수는 없겠지만 그만큼 팬들한테 지탄받아도 할 말 없는겁니다.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프로 스포츠에서 본인들 안위를 위해 고의로 하는 행동이니깐요.... |
![]() |
윤도 기권이나하지 왜 오구했을까요ㅉㅉ |
![]() |
꿈꾸는자54076293님의 댓글 꿈꾸는자540762…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작성일
선수들 기권은 선수와 후원해주는 기업간 문제지 그걸 협회나 팬이 이래라 저래라할 문제는 아닌듯 합니다~
|
![]() |
2년 연속 기권 선수도 있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