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퍼스트 숏아이언 스윙에서 릴리즈 의문점 > 골프포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Sign in with googleSign in with kakao
자동로그인

핸드퍼스트 숏아이언 스윙에서 릴리즈 의문점
질문 |
드레인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작성일: 2018-10-15 16:36:45 조회: 6,391  /  추천: 5  /  반대: 0  /  댓글: 34 ]

본문

안녕하세요.

 

요즘 숏아이언만 빼면 나머지는 그런데로 잘 맞고 있습니다.

이전 글에도 있지만 몇달째 고민은 숏 아이언 입니다.

이게 항상 훅이 나서 ob가 나는 바람에.. ㅠ,.ㅠ

 

8~Wedge 까지만 나오면 겁이 나서 못치겠어요..

옆홀 가서 티샷하는 사람한테도 가고.

뭐 대부분 그린 근처 OB라.. ㅠ,.ㅠ

 

P를 기준으로.. 궁금한건(특히 핸드퍼스트로 들어가는 경우)

과연 릴리즈를 어떻게 해야 하는거냐 입니다..

 



 

그림판으로 그려서 그렇습니다만..

제가 아무리 생각해도 핸드퍼스트로 공이 맞고 공이 맞고..

그 다음에 릴리즈가 그림처럼 되면.. 개훅이 정상인데.. 당근 개훅이 납니다 제 경우는..

그럼 제가 뭔가 잘못 치고 있다는건데..

핸드퍼스트가 틀렸을까요? 릴리즈 방향이 틀렸을까요?

 

릴리즈 방향이라 함은.. 아예 릴리즈 없이 밀고 나가야 할지 입니다..

 

드라이버가 요즘 맞아나가니까

(빨리 릴리즈 해서 돌리니 슬라이스가 없어지네요)

 

아이언도 같은 스윙을 하니 훅이나고요..

 

(아마 이전에는 릴리즈 같은거 없이 왼손으로 핸드퍼스트인채로 밀고 나갔던거 같은데..

이게 맞는걸까요?

 

 

 

 

========================================================

감사합니다..

조만간 드라이빙 레인지 가서..

연습해보고..

결과 보고 하겠습니다.. !!


추천 5 반대 0

댓글목록

릴리스라는 게 사람마다 그때그때 생각하는 의미가 다른데

전완부 로테이션에 의한 샤프트 로테이션을 말씀하시는 것 같네요

뻔한 이야기밖에 못 드려서 송구스럽지만 당연히 클럽페이스가 스퀘어가 될 만큼만 로테이션이 일어나야 합니다

그걸 릴리스가 없다고 표현할 수는 없죠

    0 0

이 글의 뜻이..
혹시 백스윙시 코킹이 과하게 들어가서 채가 뒤로 넘어가는 바람에
채가 풀리는 과정에서 스퀘어인 상태를 유지 못하고 돌아가는 힘으로 넘어갔을꺼 같다는 이야기 인지요?

지금 드는 생각중에 한가지가 이것 입니다.
채가 돌아나오는 길이 있는데 이게 과하면 같은 방향으로 휙돌아가 버리는것 같아서요..
채를 더 플랫하게 들어올리는 방법을 생각중입니다..

    0 0

음 그렇진 않습니다..저는 로테이션이 코킹각이나 스윙플레인각도 같은 다른 요인과는 상당히 독립돼 있는데, 많은 사람들이 과하게 연관시킨다고 생각합니다

    0 0

전완부 로테이션이 왼손이 바닥쪽으로 눞는걸 이야기 하시는거 같네요..
이게 스퀘어 일때 까지만, 더 돌아가면 닫히게 되니까요.
문제가 이것일 수도 있습니다만.. 전 오히려 오른손 왼손이 똑 같이 몸 왼쪽으로 휙 돌아가 버리는 듯한 느낌이 었습니다.

한번 신경써서 시도해 봐야 겠네요.. 감사합니다.

    0 0

숏아이언, 웨지도 드라이버와 같이 팔로우가 있어야 합니다. (어프로치 말구요..)
쭉 앞으로 채가 나가는지 못하고 과하게... 땡겨쳐지는건 아닐까요...??
혹은, 공을 찍지 못하고 퍼올려지는 듯한 스윙이 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필드에 가시면 디벗자국 방향을 한번 확인해 보시길!!

    0 0

제가 디봇을 보고 싶은데.. 몇년째 공치면 뛰어나가기 바빠서 까먹고 못봤습니다.. ㅠ,.ㅠ
그런데 핸드퍼스트로 공이 맞고 쭉 밀고 나가면..
제 생각에는 p 같이 길이가 짧고 라이각이 큰 녀석들은 공맞고나서 채가 땅으로 푹 박힐것 같은데요.. 그것 또한 밀고 나가야 할까요?
짧으면 짧을수록 땅을 더 파야 될텐데 P 정도면 몇cm들어갈꺼 같아서 겁이나서요..

    0 0

핸드퍼스트로 공을 쭉 밀고 나가는 느낌도 중요하지만..
아이언 헤드와 공이 만나는 시간은 임팩 순간. 1초도 안되는 찰나의 순간입니다.
(다운스윙시작 부터 피니쉬까지... 아무리 길어도 1초 정도일듯합니다.)

그 찰나의 순간에 공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건,
페이스의 스퀘어 정도와 궤도에 따른 공의 스핀입니다.
위에 "개훅"이라고 하신걸로보면, 궤도도 닫힌 모양일 것이며,
궤도 또한 몸이 공을 덮어버리는 아웃인 스윙으로 예상(?)됩니다.
제가 추전 드리는건.. 드라이버와 같은 스윙이으로 해보세요.

드라이버 처럼 상체를 조금 더 오래 고정하는 스윙과
드라이버 보단 조금 느린 릴리스
예를 들어 드라이버가 가슴 위치에서 릴리스 시작이라면,
아이언은 배꼽에서 시작하시는걸로..
위에 그림처럼 나오는건 릴리스가 너무 빠르게 시작되서 그렇습니다.

왜 있자나요... 코킹 풀지 말고 끌고 내려오라는 말. 그게 조금 부족해서 그렇습니다.

P나 7번 아이언이나 잘 맞았다!! 하는경우
제 기준에 디벗은... 얇은 돈까스 정도의 두께입니다. ㅋㅋㅋㅋ;;

제 동반자는.... 2.5cm의 통삽겹살도 만들더 군요;;
물론 이건 공이 안날라가긴 합니다만....

일단 상체를 잡아두고 아이언으로 공 옆면을 찍는 임팩을 만드는 릴리스를
연습하시면 될듯합니다....

    0 0


요 그림(UL대회 박성현 선수 숏 아이언)을 보시면... 이해가 조금은 되실듯 합니다.
아래 숀박님 의견과도 같은데...
1. 아이언 끌고 내려오기.
2. 배꼽 위치에서부터 릴리스 시작
3. 임팩 시 스퀘어 페이스
4. 임팩이후 아이언을 앞으로 쭉..(양팔이 쭉! 뻗어집니다.)
5. 팔로우시 자연스러운 손목 로테이션
6. 로테이션 완료 및 피니쉬로...
도움이 되셨기를!! ㅋ

    0 0

이런 경우라면 헤드가 스퀘어인 채로 상당히 오랫 동안 지나가게 되는거 겠네요..

    0 0

>>드라이버 처럼 상체를 조금 더 오래 고정하는 스윙과
>>드라이버 보단 조금 느린 릴리스

이 상태면, 이미 핸드퍼스트로 손은 왼쪽 허벅지를 지나 갔거나 그 근처일텐데..
여기서 릴리즈가 만들어 질까요?
(사실 이부분이 제일 의문입니다.)

여기서 오른손이 덮이는게 가능할지..

- 만약 일찍 오른손이 덮이면 위의 그림과 같은것 같고요..

    0 0

혹시 그립을 스트롱그립으로 쥐고 계신가요?
스트롱그립에 핸드퍼스트 이미지 합쳐지면 저렇게 되곤 하던데..
저도 제 나름대로 긴급조치 식으로 몇가지 다르게 쳐봤는데요.

1, 그립을 스트롱그립으로 유지한상태
- 릴리즈를 최대한 늦게 한다.
- 어드레스시 페이스를 약간 오픈시킨다.
이 두가지 해봤는데 릴리즈를 늦추는건 포인트가 어려워서..저는 그냥 페이스를 오픈시켜 쳐봤어요
그것이 저한테 더 잘맞는듯 했어요 스윙은 그대로  뭐 바꾸려고 하지않았습니다.

2.뉴트럴 그립으로 잡은 상태
-평소대로 쳐봅니다. 이것도 괜찮았는데 오히려 긴클럽에서 슬라이스가 좀 발생하더라구요.

결론: 스트롱그립을 잡고 페이스를 오픈해서 숏아이언을 쳤다...

도움이 될랑가 모르겠네요 ;;

    0 0

또하나 연습하려는게 스트롱그립에서 채를 열고 쳐보려는건데..
이런 경우 채마다 여는 정도를 달리해야 할텐데 어드레스시 어떻게 보정 하시는지요?
혹시 생크(생크 보다는 얇게 파는 바람에 공이 오른쪽으로 날아가버리는) 경우는 없으신지요?

    0 0

골프저널 - http://golfjournal.co.kr/detail.php?number=1174&thread=14r01

여기의 팔로우스루 에서
몸 안쪽으로 들어오는 팔로우스루 를 하고 계신건 아닌지요?
숏 아이언만 그렇다는걸로 봐서는
전체적으로 아웃인 궤도의 슬라이스 성 타구를 보상하기 위한 동작이 있는것 같으며, 숏 아이언에서는 보상동작이 강한 훅으로 나오는 것 같네요.

이상 백돌이의 조언이니...걍 참조만 해주세요.

    0 0

이건 좀 어렵네요..
슬라이스를 최근에 잡기는 했지만 제가 아웃인 으로 치는건 느낌으로 아는 듯 해서..

팔로우 후 헤드 방향도 확인해 보겠습니다..

    0 0

스트롱 잡으시면 1시방향으로 던져라.....라고 밖에는...
그런데 못 던지시면..개훅 납니다.

전 뉴트럴 그립잡고 핸드퍼스트 상태에서...반스윙만하고..헤드 무게로 툭 떨굽니다. 웨지 4개 사용중인데요. 이렇게 하면 각도에 따라 50~80미터 까지 공이 알아서 날아갑니다.

    1 0

이건 결국 팔로우 쓰루를 계속 유지 하라는 이야기 겠네요.. 스퀘어인 구간을 가능하면 늘려라..
잘 이해한거 맞겠죠?

    0 0

딸군뒤에는 팔로우스로우 하면서 손목은 롤링되어 돌아갑니다. 굳이 유지하려고 애 안쓰셔도 됩니다. 신경은 좀 쓰셔야겠지만요

    0 0

연습해봐야 겠네요..

1시방향으로 몇번 아이언 까지 던지시나요?

롱아이언으로 갈수론 드라이버처럼 싸대기 때리고 인-아웃-인으로 들어와야 할 것 같은데요..

    0 0

짧은 클럽만 그렇다면
쉽게 짧은 클럽은 팔로스로를 끝까지 안하는것도 해결책이 됩니다.
거리는 좀 줄겠지만 유의미한 숫자는 아닐겁니다

    0 0

이걸 시도해 보려고 했는데 사실 팔로스로를 안한다고 해도 클럽헤드가 빠져나갈 길이 안보입니다.

    0 0

제의견은....
임팩 때 손에 힘이 더 들어가진 않는지 확인 바랍니다.
어드레스 하신 후 손을 꽉 쥐시면(힘이 들어가면) 해드가 어이없이 닫히는 것을 보시게 될 겁니다. 특히 스트롱 그립 시.
그 상황에서 만일 아웃인 궤도로 스윙이 이루어지면.... 결과는 엄청난 훅.
방법은 임팩때에도 손의 힘을 빼던지, 약간 뉴트럴하게 잡던지(뉴트럴하게 잡으면 힘이들어가도 해드가 닫히는 정도는 줄어듭니다) 하시는 것이...

    0 0

여기는 신경을 못써봤네요..
전체적으로 좀 힘을 쓰는 편이라..
숏 아이언은 가법고 짧아서 힘을 더 쓰는것 같기도 합니다.
시도해 보겠습니다.

    0 0

스퀘어상태인 구간을 늘린다는 기분으로 쭉 밀어죽시면 헤드무게때문에 자연스럽게 릴리즈가되는것같아요 숏아연은 릴리즈안해도 거리 손해크게안보구요

    0 0

손목 쓰지 말고 쭉~~ 기억하겠습니다.

    0 0

정말 비슷한 고민을 하신분을 필드에서 쉽게 해결한 적이 있어서
올려드립니다.
(그분도 의도적 핸드퍼스트로 비슷한 현상이었습니다.)

제 글 대로 한번 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핸드퍼스트 한 어드레스 동작에서

1. 왼손으로만 클럽을 쥐고 페이스면 과 공을 스퀘어로 둔다
2. 오른손으로 그립 완성후  빈스윙 2회 정도
3. 다시  페이스 면과 공이 스퀘어인지 확인한다 (대개 이때 닫혀있더군요)
4. 왼손은 그대로 둔채 오른손으로 샤프트를 살짝 돌려 스퀘어 만든후 왼손은 꽉쥐고, 오른손으로 그립 완성후
5. 바로 스윙

    0 0

오른손을 너무 스트롱하게 잡아다는 뜻일까요?
비슷한 시도를 했었는데요.. 오른손을 가능하면 위크 그립으로..
휘둘러보고는 안해봤네요.. 한번 시도해 보겠습니다.

    0 0

오른손 보다는 왼손이 문제였습니다. 꼭 한번 보세요

    0 0

이제 이해가 가네요..
^^

    1 0

임팩시 상체 전체나 왼쪽 어깨가 들리거나 하면 헤드가 쉽게 닫칠수 있습니다.
전 임팩시에 손이 공보다 더 앞쪽에서 맞는 핸드 퍼스트및 손의 높이가 어드레스때의 높이 보다 되도록 같이 하려고 노력합니다.(동영상 찍어보면 손의 높이가 어드레스 보다 항상 높게 되는데 이게 과하게 높아지면 훅이 나더군요..)

    0 0

제가 원래 상체 드는 습관이 있는데..
안들어도 그렇더라구요.. ㅠ,.ㅠ

    0 0

드라이버나 롱아이언과 똑같이 치시면 왼쪽으로 감기는 샷이 나오는게 정상이고요. 너무 심하게 감기시면 페이스를 약간 열고 치세요. 어느 프로가 방송에서 하는거보고 저도 예전에는 이렇게 쳐서 똑바로 보냈던 기억이 남니다.

    0 0

페이스 열고 치는거 말고는 채가 정녕 쉽게 빠져나가는 길이 없나요? ㅠ,.ㅠ

    0 0

저는 8,9 번은 한시방향으로 민다는 생각으로 하고요 p이하는 찍어서 든다 라고 생각하고요 어프로치 때는 아웃인 스윙에 헤드열고 오른발 살짝 오픈해서 쭉 밀어주니 좀 고칠수 있었습니다

    0 0

감사합니다..
저도 하루종일 생각해봤는데..
느낌상으로는 이게 맞을것 같긴 합니다..

    0 0



리모컨

맨위로
 댓 글 
 목 록 
회사소개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메일문의 Copyright © 딜바다닷컴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