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련링크
본문
힘은 질량과 가속도에 비례한다.
이 공식만 언뜻 떠올려서 대충 추론해서 특정한 결론에 잘못 도달하시는 분들이 종종 보여서 씁니다.
F = m * a
그냥 일차방정식처럼 써놨지만 사실 F랑 a는 숫자가 아니라 벡터입니다.
작용하는 지점/대상이 따로 있고, 방향이 따로 있다는 것입니다.
문과적으로 다르게 표현하자면 모든 힘에는 주어와 목적어가 (숨어) 있습니다.
어떤 상황이든 물리학에서 힘을 논하고 싶으면
1)누가
2)어디에
3)어느 방향으로
가하는 힘인지, 그리고 그에 따라
1)누가
2)어느 방향으로
가속하는지를 매번 다 빠짐없이 따져야만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아주 얼토당토 않은 헛소리에 도달하기 십상입니다.제가 물리 지진아여서 엄청 틀리고 포기 직전까지 갔던 사람이라 아주 잘 압니다.
골프는 하필이면 회전운동, 그것도 원운동에 원운동이 하나 더해진 이중진자 운동인데다, 서로 힘 주고받는 부품이 겁나 다양하고 그 양상이 심지어 직관을 벗어나는 찰나의 순간들이 존재합니다(ex:임팩트 시 그립을 단단히 잡든 말든 충격량에 변화가 없다고?!).
역학적으로 따지려면 일단 매순간 방향이 변한다는 문제도 있고, 주어 목적어가 헷갈릴 일도 많다는 얘기입니다.
정확히 주어 목적어 확인해서 논리를 전개하든가, 아니면 방정식을 함부로 적용 안 하는 것이 차라리 안전합니다.
F=ma니까 @@@@한 게 당연하죠, 라고 짧게 말하는 내용은 거의 대부분 신뢰성이 없다고 선입견 가지고 읽으셔도 무방합니다.
![]() |
![]() |
![]() |
![]() |
![]() |
댓글목록
![]() |
블라인드 처리된 댓글입니다. |
![]() |
그냥 비꼬고 까지마시고 본인의 의견을 좀 개진하심이 어떠실런지요. |
![]() |
상대방에게 여전히 뭘 모를거라는 인신공격을 하시기전에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에 대한 내용을 조금은 적어주시는게 매너가 아닐까요 |
![]() |
왜 그렇게 생각하시는지 이유까지 밝혀 주시면 좀더 건설적인 토론이 될것 같습니다. |
![]() |
말 진짜 멋드러지게 하네요. 뉴턴 역학을 뛰어넘을 만한 진리를 홀로 알고 계시든지;; |
![]() |
댓글을 읽어보니 분산이님은 예의가 없군요 |
![]() |
분산이님, 맞습니다. 제가 아직도 물리 많이 모릅니다ㅠㅠ 제가 모르는 범위까지 넘보지는 않고 아는 범위 내에서 열심히 썼던 것 같은데 혹시 제가 이전에 잘못 말한 게 있다면 끌어올려서 가르침을 부탁드립니다! |
![]() |
회전운동은 F = m*v^2/r 입니다. 원심력은 접선속도의 제곱에 비례합니다. |
![]() |
감사합니다. 이렇게 F= 머시기 붙은 공식이 상황별로 대단히 다양하기 때문에 하나만 생각하면 안 된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었습니다. |
![]() |
각가쇽도 각운동 빼고 1차원적으로만 생각해도 |
![]() |
저 밑에 체중 문제로 쓰신거라면 |
![]() |
둘째 댓글에서 F=ma를 정작 직접 사용하진 않으셨네요. 두루뭉술하게 m에 해당되는 3가지가 등장했으니까 맞다, 라고만 하시면 여러 허점이 생깁니다. |
![]() |
첫 번째 댓글에 말씀하신 내용은 클럽헤드에 가하는 힘, 클럽헤드의 속도를 말씀하신 걸로 이해됩니다. 이런 부분도 누가 누구에게 가하는 힘인지 주어 목적어가 없으니 혼란스러울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클럽헤드에 가해지는 힘은 시시각각 방향이 변하기 때문에 막연히 t를 증가시킨다고 무조건 총합이 커지지 않습니다. 방향까지 중요한데 그걸 따지지 않으면 혼동이 온다는 말씀도 드리려는 글이었습니다. |
![]() |
전공자신가요??? |
![]() |
저도 전공은 아니고 비슷합니다…60도 웨지 로브샷 함부로 하면 안 된다는 얘기랑 마찬가지로 물리공식도 생각없이 대충 쓰다간 낭패본다는 얘기를 하고 싶었을 뿐이었습니다. 아무래도 전달이 미숙해서 마음이 상하셨다면 죄송합니다. |
![]() |
모든상황에 f=ma 만을 쓰지 말자라고 하시면 끝날얘기가 장황해요~ |
![]() |
ㅋㅋㅋ 아래 글에 답변들 보고 하신 말씀이군요 |
![]() |
장황해서 읽기에 부담스러우셨다면 죄송합니다. 나름 요지만 말하고 끝내려 했는데… |
![]() |
책 한 권만 읽은 사람이 제일 무섭다더니...ㅋㅋㅋ |
![]() |
메시지에 이의가 있으시면 메시지를 공격하세요 |
![]() |
맞습니다. 공식 하나만 들은 사람이 제일 무섭다는 이야기입니다. 잘 요약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
|
![]() |
맞아요 이게 진리입니다 중요한 건 실제로 그냥 치는 거죠 |
![]() |
지나가던 문과생 마져 지나가겠습니다 |
![]() |
들러주셔서 감사합니다 |
![]() |
공학박사에 현직입니다. |
![]() |
좋은 말씀 많이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
대체로 체중이 많이 나가면 힘이 세죠. 체중이 적게 나가도 힘이 센 경우가 있는데 그건 통계적으로 그냥 outlier입니다. 그런 표본을 가지고 체중과 힘이 연관관계가 없다고 하면 더 위험합니다. 프로 아마 상관없이 남자골퍼와 여자골퍼의 집단 평균 비거리를 비교해도 남자골퍼들 비거리가 월등히 더 많이 나갑니다. 이유가 과연 속도에 있을까요 체중에 있을까요. 잘 생각해보세요. |
![]() |
네 강한 근력을 얻기 위해서 엘리트 체육 레벨에서는 보통 체중을 어느 정도 불릴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운동생리학적 주제를 F=ma 한 마디로 일축하려는 태도를 경계해야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
![]() |
http://www.tutelman.com/golf/biomech/index.php |
![]() |
오우야...열었다가 바로 닫았습니다.. |
![]() |
오우야..열였다가 바로 닫았습니다..@.@ |
![]() |
바로 닫았습니다ㅋ |
![]() |
앗 깜짝이야 놀랐잖아요 ㅎㅎ |
![]() |
님아.. 그 창을 열지 마오.... |
![]() |
어머!!!!!!!! xx |
![]() |
문과 출신인 제가 링크글을 읽고 '통찰력'과 '깨달음'을 얻으면 된다는 것으로 압축되는데 제대로 읽은 것일까요? ㅎㅎ |
![]() |
목차 전체는 너무 분량이 많습니다. 체중은 아니고 키에 관한 내용이지만 이 글을 추천드립니다. |
![]() |
오옷. 흥미롭군요.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
![]() |
1)긴 채와 긴 골격을 감당하고도 남는 근력이 있으면 헤드스피드가 는다 |
![]() |
리플들 보고 후방 한번 확인한 뒤에 두근두근 거리면서 열었는데 .... |
![]() |
그냥 속도 거리 문제는 베이스 공식은 F=ma입니다.. 방향은 당연히 우리가 원하는 방향을 이야기하구요 ... 이게 정확하게 적용되려면 스윗스팟에 스트레이트로 맞으면 되죠 .. 하지만 뒤틀리고 가운데 안맞고 하기 때문에 .. 정확하게 적용이 어려운 것이구요 .. |
![]() |
베이스 공식과 대전제에 관한 말씀은 맞습니다. 방향은 당연히 무엇, 이라고 일축하는 태도는 경계해야 합니다. 골프 물리를 논할 때 서로 힘을 주고받는 주체 객체가 다양하기 때문에 어느 힘이냐에 따라, 어떤 상황이냐에 따라 방향은 죄다 달라집니다. 물리를 따지지 말자는 게 아니라 하려면 제대로 해야 한다는 이야기이고, 안 할거면 과감하게 모른다 생각 안 해봤다고 해도 무방합니다. 그 중간에 어정쩡하게 걸치면 사이비가 됩니다. |
![]() |
격조!!! |
![]() |
격조가 부족하여 틀린 건 틀렸다 하면서도 심기를 |
![]() |
F=ma로 설명하면 m은 공의 무게이죠? |
![]() |
ㄷㄷ 님하 그 강을 넘지 마오~~ |
![]() |
ㅎㅎ 저 위에 어질어질한 영어 문장 대충 보니 그런 설명이 있어서 궁금하더라구요. 골프에서 F=ma 설명에서 m은 고정된 값을 가진다고요. 공인구는 무게를 정해줘서 그런건지.. |
![]() |
바로 이렇게 한 마디로 딱 끝내려는 마음을 경계해야 한다는 주제입니다. 어느 힘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으신가요? 그에 따라 공의 무게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주어 목적어 빈칸을 채우는 것부터 시작해보세요. |
![]() |
아~ 너무 설명이 짧았군요. 제대로 이해한건지 모르겠는데.. 골프공을 때리는 힘이 골프공에 가해졌을때 F=ma 공식으로 공이 가속된다고 하면 m은 골프공의 무게이겠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