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즈노 프로 243, 245 둘 다 쳐보신분 계실지... > 골프포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Sign in with googleSign in with kakao
자동로그인

미즈노 프로 243, 245 둘 다 쳐보신분 계실지...
질문 |
노가다™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작성일: 2025-03-19 18:02:42 조회: 5,027  /  추천: 6  /  반대: 0  /  댓글: 31 ]

본문

JPX923 포지드를 그냥저냥 쓰고 있는데... 특별한 이유 없이 미즈노 프로 모델이 땡깁니다 -_-;

요새 가격이 좋아서 그런지 ㅎㅎㅎ

 

프로243이 JPX투어 난이도, 프로245가 JPX포지드 난이도라는 얘기도 있고한데 연습도 안하면서

어려운 채를 쓰는건 아니라고 보고 아래 조건에서 어떤게 더 나을지 문의 드립니다.

 

1. 필드 스코어는 90개 전후

2. 7번105그램대 샤프트 기준 볼스피드 51전후'

3. 7번 30도 기준 필드 거리 160미터 전후

4. 페이드는 개나줘버려... 잘치면 드로우 못치면 개훅

 

245가 모양은 더 이쁜것 같은데, 중공이라 타감(타구음)이나 뻥거리?가 좀 걱정됩니다.

참, 243에 비해 헤드가 많이 큰지도 궁금하네요. 일전에 포틴 TB5 헤드가 너무 커서 적응 못하고 팔았...;;

 

어떤걸 더 추천하실지요? ^^

 


추천 6 반대 0

댓글목록

저도 궁금하네요.. 245 넘땡겨서요
그리고 지난번 중공아이언 뻥거리에 대해서 어느분이 공유해주신 자료
https://coolclubs.com/iron-reviews-mizuno/ 
탄착군도  확인해봤습니다. 245  좌우 편차가 없다는게 더 신기하네요

    2 0

앞뒤로 편차 두클럽씩 심한데.. 이럼 사면 안되는거 아닌가요? ㅇ.ㅇ

    0 0

좌우로 죽지 앞뒤로는 죽지 않습니다. ㅎㅎ 
925나 중공아닌 아이언도 맞는 위치에 따라 편차 비슷해요.. 참고만 하면 될듯해요
그리고 우리는 한곳에만 잘 맞추면 되니깐요

    1 0

솔깃한데요? ㅎㅎ 맞아요 정확히 맞추먼 되겠군요

    0 0



이거 말씀하시는거죠? 거리 편차가 꽤 있는것 같은데 다른 아이언들도 적지 않네요 ^^;

    1 0

요즘에 가격이 잘 나온것 같아서 저도 급 땡깁니다요.~~

    1 0

60만원대로 나오니 뽐뿌가..;;

    0 0

지금Jpx쓰고계시다면 미즈노 사이트가시면 미즈노끼리 클럽별 비교기능이 있어서 한눈에 볼수있어요
JPX투어>mp245>JPX포지드  순의 난이도입니다
옵셋 헤드크기 등 모두다 위순서에요

    1 0

245만 해도 JPX 포지드 보다 윗급이군요 ^^;

    0 0

243, 245 둘 다 쳐봤습니다. 타감은 개인적인 느낌이라 일반화할 수 없겠지만 저의 경우에는 중공구조 중에서는 미즈노 245가 가장 타감 좋았습니다. 헤드는 그리 크지 않습니다.

    1 0

말씀하신대로 중공 아이언 중에는 타감이 최고라는것 같습니다.
헤드가 그리 크지 않다니 다행이네요 ㅎㅎ

    0 0

프로223쓰는데 243 타감이 궁굼하긴합니다.
7번 32도 기준 140 보냅니다~.

    0 0

당연히 타감은 243더 조금 더 좋습니다.
241은 조금 더 묵직하구요.

    0 0

더 참으세요
더 가격 떨어집니다

    2 0

이정도 가격이면 충분히 살만한것 같습니다 ㅎ

    1 0

저는 구력이나 실력이나 노가다™ 님에 비해 미천하지만 갑자기 장비병에 걸려 아이언을 짧은 기간에 10종 정도 사용해보고 정착을 했습니다.
245구매해서 쓰다 얼마전에 방출했는데 7번 로프트가 30도인것, 피칭이 43도인 것... 두가지 때문에 방출했습니다.
243은 시타를 한 10분정도 해보았구요.
솔직히 타감은 둘 다 좋아서...고민 많이 하고 샀었어요 (불과 얼마전까지만해도 거리가 너무 안나가서 구매한게 실수였습니다ㅠㅠ, 모양도 245가 더 이뻐서 ㅠ)
근데 P가 43도이니 110~@ 정도 남았을때 48을 치면 조금 짧아 P를 잡으면 핀을 훌쩍 넘기고...저에겐 이 각도가 참 애매하더라구요
제가 아직 정타 확률이 높지 않아 갑자기 터지면 7번 30도 기준 기준 145~170정도까지 편차가 있어 스크린칠때 그린을 훌쩍 넘어가 죽는 경우가 생겨...32도 이하로 내리지 말자 다짐하고 손해보고 판매를 했네요.
제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유사한 각도의 캐비티백도 서너 종류 사용을 해봤는데 결국 중공구조냐 아니냐를 떠나 스트롱 로프트의 채들에서 정타율에 따라 앞뒤 거리 편차가 많이 생기는 것 같다는 결론을 지었네요 (단순 제 개인적인 판단이니 오해하시면 곤란합니다 ㅠ)
34도 칠 실력은 안되고 32도에 정착하니 편차가 많이 줄어 스코어가 좋아지고 있습니다.

    1 0

노가다™님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