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련링크
본문
평소 회사 직원들과 스크린을 일주일에 한번 정도는 즐기고 있습니다.
어제 스크린 후 오늘 아침 회사에서 논쟁이 좀 있었는데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발단은 어프로치 얘기를 나누다가 시작됐습니다.
평소 스크린에서 저는 54도로 70미터 아래를 컨트롤해서 치고 있고, 50도 100미터, 54도 90미터, 58도 80미터로 풀샷을 때립니다.
저와 논쟁을 벌였던 A가 골프 시작한지 1년정도 된 B에게 '골프백에 52도만 가지고 있고 56도 60도는 그냥 빼라.
칠일이 없다. 그런거 가지고 다녀봤자 무겁기만하다.' 라고 조언을 해 주고 있길래..
제가 '뭐 50미터 이내에선 52도 하나로 해도 되겠지만 그 이상거리에선 풀샷으로 일정 거리를 쳐 주는 것이 더 운영하기에 수월하다. 그리고 그린상황이나 벙커,러프 상황에 따라 56도도 쓸일이 있다.' 라고 했더니
A 본인은 프로에게 레슨받으며 '52도 하나로 100미터 아래는 다 치는거다.' 라고 배웠다고 하더라고요.
A는 '52도를 100미터 보고 그 아래는 다 컨트롤로 치는것이 맞다.' 라는 주장을 계속 펼칩니다.
저는 '아니 52도 100이면, 56도 풀샷 90, 60도 풀샷 80 으로 쉽게 칠수있는 설정이 있는데 굳이 하나로 어렵게 컨트롤 할 필요가 있냐' 이러면서 서로 논쟁이 심화됐습니다.
결국 능력있는 프로의 말이라면서 자신은 그렇게 연습해서 칠 터이니 무겁게 다 가지고 다녀라..
그리고 아마추어의 지식을 골린이인 B에게 강요하지 말아라. 자신은 프로의 말을 전달해주는 것이다.
라고 하면서 말을 끝내더군요.
하아. 매번 골프에 관한 얘기를 나누면 서로 의견이 틀린지라 여러가지로 답답하네요;;
뭐 제가 잘못알고 있을수도 있지만.. 참고로 그냥 스크린기준 핸디는 저는 1.5 정도이고 그 직원은 12정도 입니다.
A는 꾸준히 프로(본업이 따로 있는 티칭프로인듯합니다.)에게 레슨을 2년정도 받았기에 이론적으로 항상 자신있다고 말하는 편입니다.
저는 골프 시작할때 레슨 3개월이 다긴하고요;;
분명 50도부터 60도까지 다 쓰임이 있기에 만들어진 것들이 아닐까 싶은데요.. 아 논쟁 말미에 제가 흥분해가지고 '그럼 5번 하나 가지고 160이하 싹다 컨트롤샷하지 왜 채를 다 들고다니냐'라고 한마디 하긴했네요;
다른 분들은 어떻게 운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
![]() |
![]() |
![]() |
![]() |
댓글목록
![]() |
글쓴이 님의 말이 맞지요 그럴거면 그냥 5번 이하를 전부 컨트롤해서 치시지 뭐하러 무겁게 가지고 다니실까요 그분은..솔직히 웨지 뭐 저렇게 52도로 다 조절해서 칠 수 있음 그렇게 치시면 되지만 당연히 웨지가 여러개 있으면 유리한 부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
![]() |
투어 프로들이 바보라서 4웨지 3웨지 구성하는게 아닐텐데요 ㅎ |
![]() |
저번에 박세리 유투브 중에 30미터를 14개 클럽으로 칠줄알아야 된다...라고 한걸 본적이있는것같습니다.
|
![]() |
정말 감각이 좋으면 52도 하나로 100이하 컨트롤하면 되는데 그렇지 못하기때문에 웻지 여러개로 나눠서 치죠
|
![]() |
52도로 다 커버한다면, 14개 구성에서 긴 채들의 구성의 다양성이 생길 것이고,
|
![]() |
정답이 있을까 싶습니다
|
![]() |
골프에 정답이 어디 있겠습니까? 본인에 맞게.. 상황에 맞게 구성하고, 연습하고, 치고 그러는 것이지요.
|
![]() |
필드가면 라이 높낮이가 다 다르고 |
![]() |
직장 동료분 참… 속상해 마시고 니가 맞다 해주십시오. 스코어로 말하면 됩니다 ㅎㅎ
|
![]() |
굳이 도시락을 각성시킬 필요 없어요. 골프는 지식 자랑이 아니라 필드 타수로 증명하는 겁니다. |
![]() |
근본적으로.. 사용클럽 갯수를 14개로 제한했다는 것에서 답이 나온거 아닌가요 ㅎ
|
![]() |
죄송하지만.. 동료분 너무 꼰대같은 답정너 마인드시네요.
|
![]() |
이렇게 말하면 끝날 것 같은데요
|
![]() |
1위는 스코티셰플러....ㅋㅋ |
![]() |
개인적인 클럽 하나만 가지고는 무리가 있을듯 싶어요. 저 가르쳤던 프로는 50도, 54도, 58도로 모두 60, 70, 80, 90 같은 거리들을 다 보낼줄 알아야한다고 하더라구요.. 상황별 클럽별 어프러치가 중요한거 같긴 해요.. |
![]() |
제3자인 제 입장에서는 쓸데없는 논쟁인 듯 합니다.
|
![]() |
지인이 80넘은 노인인가요 무게타령은ㅋㅋ |
![]() |
연습양이 부족한 골퍼에겐 풀샷으로 치는게 좀 더 쉬운방법이지요.
|
![]() |
정답은 없겠지만, 이 말씀이 아주 많은 아마추어들에게 최적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
![]() |
골프는 스타일입니다만
|
![]() |
반박시 니말이 맞음. 이걸로 끝이죠 뭐. ㅎㅎㅎ |
![]() |
오지라퍼입니다ㅋㅋ |
![]() |
캐디백은 카트가 들어주는거 아잉가요? ㅎㅎ
|
![]() |
저는 50, 54, 58을 바운스 다르게 쓰는데 50m이상은 거리별 하나의 클럽으로 50m이하는 3클럽 모두 캐리 떨어뜨리는 연습을 합니다. 웨지야 캐리거리가 중요하고 잔디상황, 그린 상황에 따라 런을 계산하는거죠. 벙커도 공 놓은 상태나 남은 거리에 따라 54, 58 다 써요. 드라이버나 우드로 어프로치도 하는데요 뭐. |
![]() |
스크린 핸디 12면 100돌이인데, 100돌이때 남들을 가르치고 싶어한다는 말이 딱 맞네요. |
![]() |
지인은 샌드웨지가 뭔지 왜 그렇게 생긴건지 모르는 것 같네요^^ |
![]() |
원래 책 한권만 읽은 사람이 똑똑한 척 합니다. (심지어 무섭죠)
|
![]() |
하나라도 잘치라는 프로의 돌려조언을 잘못 이해 하셨네요..ㅋㅋ |
![]() |
buy22894021님의 댓글 buy2289402…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작성일
지인분은 2년동안 레슨받고도.. 스크린 지핸디가 12인 몸치니까..프로가 그렇게 이야기 하는겁니다.
|
![]() |
아마추어 기준 싱글 치는 사람들 아니면 사실 저는 60도는 진짜 어려운거라 굳이 그거 연습할시간에 컨트롤 연습하는게 낫다고 보긴 합니다 |
![]() |
어프로치는 특히 정답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
![]() |
52도 컨트롤로 100미터 안쪽에서 공을 남은거리의 10%안쪽으로 다 넣을수 있다면 모르겠으나
|
![]() |
꿈꾸는자54076293님의 댓글 꿈꾸는자540762…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작성일
보통...거리에 스트레스 없는 사람들은 웨지를 많이 넣고
|
![]() |
퍼터로 200미터 칠수 있으면 다빼야겠네요 ㅎㅎㅎㅎㅎㅎㅎㅎㅎ |
![]() |
정답은 없지요 지인분이 정답 일수도 있고 글쓴님이 정답일수도 있습니다.
|
![]() |
ㅎㅎ 저도 이분말씀 공감합니다 풀샷 56도이상은 칠줄모르면 다 그루브 타지요 ㅎㅎ
|
![]() |
잘치는 놈이 왕이죠
|
![]() |
임진한프로, 허인회프로 연예인들하고 방송할때 2,3개 클럽으로 파파파파 하는거 봤습니다. 그런 극강 프로면 가능하겠지요...일반적인게 정상인거 같네요. 웨지 2,3개가 일반적인거죠..ㅎㅎ |
![]() |
골프는 이래도 되고 저래도 됰다고 봅니다. 남에게 자기것을 소개해 줄수는 있어도 자기걸 강요하거나 남들이 틀렸다하면 문제죠 |
![]() |
치다 보면 클럽이 필요한걸 느낄때가 올텐데 굳이 논쟁할 필요 있나요. 실력이 올라가야 거리가 구별될텐데 그 전에는 하나로 치는게 더 편하다고 느낄테죠. 그런 사람에게 거리별로 나눠치라고 해봐야 귀에 안들어 올것 같습니다. 물론 저도 처음에는 56하나로 90미터 이하를 다 쳤습니다. ㅋㅋ |
![]() |
두분 말씀 다 맞습니다.. 논쟁할 필요가 없는 주제입니다.. 드라이버로 다 컨트롤해도 되고, 14개 꽉 채워서 다녀도 되고~ 14개 꽉 채웠다고 누가 패는 것도 아니고 10개만 가지고 다닌다고 누가 욕하지도 않습니다.. 규정안에서 원하는대로 내맘가는대로 하셔도 됩니다.. |
![]() |
엊그제 다시 60도 들였습니다.
|
![]() |
한 클럽으로 한가지 스윙이 가능한 골퍼로 시작해서 한 클럽으로 여러가지 스윙이 가능한 고수가 되고 공이 놓인 상황과 바람 그리고 장애물도 고려한 채 각 클럽으로 여러가지 스윙이 가능한 초고수 내지 프로가 되는 것이 과정 아닐까요?
|
![]() |
프로들은 상황에 맞게 그린주변에서 우드로도 퍼팅하고는 하지만 |
![]() |
그사람은 일도 그런식으로 하는사람인가요? ㅋㅋㅋ
|
![]() |
웨지마다 명칭을 붙여 놓았죠. 피칭, 어프로치, 샌드, 로브 본래의 명칭에 맞게 사용한다면 친구분 말도 일리가 있습니다. 웨지가 세분화 되는게 바운스, 그라인드, 로프트각, 무게중심도 달라지고.. 본인의 성향에 맞게 세분화 되는 추세라 본래 명칭과 다른 용도의 사용이 많으니 질문자분의 말도 맞는거죠 ㅎㅎ |
![]() |
괜한일로 열내지 마세요 |
![]() |
그냥 무시하세요~
|
![]() |
50 54 58 세개 쓰고 있는데요. 호기심 때문인지 30m라도 58만 치는게 아니라 54로도 보내보고 50으로도 보내기도 하네요. |
![]() |
전 50도로 80미터 이하 대부분 치는데요 |